■ KBS 걸어서 세계속으로 PD들이 직접 만든 해외여행전문 유투브 채널 【Everywhere, K】
■ The Travels of Nearly Everywhere! 10,000 of HD world travel video clips with English subtitle! (Click on ‘subtitles/CC’ button)
■ ‘구독’ 버튼을 누르고 10,000여 개의 생생한 【HD】영상을 공유 해 보세요! (Click on ‘setting’-‘quality’- 【1080P HD】 ! / 더보기 SHOW MORE ↓↓↓)

● Subscribe to YOUTUBE –
● Follow me on TWITTER –
● Like us on FACEBOOK –
● KBS 걸어서세계속으로 홈페이지 –

[한국어 정보]
울란바토르의 중심가인 평화대로, 여행의 시작이다. 평화대로를 따라 걷다보면 광대한 몽골
대륙이 느껴질 정도로 큰 광장을 만나게 되는데, 이곳은 울란바토르 중심이라 하는 수흐바토르 광장이다. 이 광장을 중심으로 중앙정부청사, 국립극장, 증권거래소 등 주요 건물들이 위치해 있다. 몽골에 온 사람이라면 누구나 반드시 이곳에 들른다는 말대로 광장은 세계 각지에서 온 나와 같은 여행객들로 붐비고 있었다. 광장 한 편에는 어린이들을 위한 것으로 보이는 다양한 장난감들이 있었는데, 돈을 받고 사진 촬영을 해주는 일종의 소품이라고 했다. 그러고 보니 나도 어렸을 적 이런 자동차 앞에서 찍은 사진이 있는 듯하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사진사들의 옷이었다. 하나 같이 한글이 쓰여 있는 옷을 입고 있었는데 한국의 중고물건들이 품질이 좋아 인기라고 한다. 나는 미소가 절로 나왔다. 휴식을 취하고 있는 사람들 속에서 나는 또 재미있는 물건을 발견했다. 사무실에서나 쓸법한 하얀 전화기. 이 전화기는 무선 공중전화기인데 우리 돈으로 1분에 100원 정도의 요금을 내고 이용한다는 것. 한 장소에 고정돼있는 공중전화기가 아니라, 이동식인 몽골의 공중전화를 보며 나는 이곳이 유목민의 땅임을 새삼 느꼈다. 광장 중심에는 몽골의 혁명의 아버지로 불리는 수흐바토르의 동상이 서 있다. 1921년, 중국으로 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1922년 몽골 인민군 총 사련관이 된 수흐바토르. 그는 서른 살 나이에 세상을 떠났지만 그의 동상에는 북방민족의 호탕한 기운이 느껴지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만일 우리 모두에게 공통된 노력과 의지가 있다면 우리가 이 세상에서 이루지 못할 것이 없고, 배우지 못할 것이 없으며 실패할 것이 없다.’

[English: Google Translator]
As a peace center in Ulaanbaatar, it is the beginning of a journey. As you walk along the vast Mongolian Peace
Continental Plaza are large enough to meet the felt, there is a suheu Coimbatore central square, which is called Ulaanbaatar. The square around the central Government House, National Theatre, the Stock Exchange and other major buildings are located. If everyone who came to Mongolia must stop by here as the end of the square was crowded with tourists like me from all over the world. On the other hand, the square seems to have had a variety of toys for the children, had been known as a kind of prop money that the picture was taken. Come to think of it, I seem to have pictures taken in front of this car childhood. But it was a fun outfit of the photographer. I was dressed like one written in Hangul is used in Korea it is referred to things like the quality is popular. I smile came out clause. In people who take a break, I found another interesting thing. Eseona likely to write white office telephone. The phone uses to pay 100 won per minute rates with our money inde wireless payphone. Not a public telephone that stuck in one place, watching a pay phone in the mobile Mongolia I felt anew that here in the land of nomads. The center of the square stands a statue of suheu Salvatore called the father of the revolution in Mongolia. In 1921, China declared its independence from the Mongolian People’s Army, and in 1922 a total of saryeon tube Salvatore is suheu. He left the world at the age of thirty his statue is carved the phrase the cavalier spirit of the Northern peoples feel. “If our common efforts and willingness, if not for all that we are able to fulfill in this world, there would be no failure it would not learn.”

[Information]
■클립명: 아시아025-몽골01-01 혁명의 아버지 기념, 수흐바토르 광장/Sukhbaatar Square/Peace Avenue/Statue
■여행, 촬영, 편집, 원고: 현상용 PD (travel, filming, editing, writing: KBS TV Producer)
■촬영일자: 2006년 7월 July

[Keywords]
아시아,Asia,,몽골,Mongolia,현상용,2006,7월 July

AloJapan.com